기획 및 제안

[기획서] 2. 보기 쉽고, 읽기 쉬운 기획서 작성하기

부등깃 2023. 6. 18. 22:04

목차

1장 기획서의 설득력을 높이는 기본상식

1) 기획자 마인드 만들기

2) 기획서 가독성 높이기

3) 기획서 보기 쉽게 만드는 방법

4) 기획서 읽기 쉽게 만드는 방법

2장 기획 회의

3장 기획서 구체화하기

4장 기획서 종류 및 목차

5장 기획서 작성하기

 

 

3) 기획서를 보기 쉽게 만드는 방법

-사람의 판단은 직관이 좌우하고, 이는 처음 봤을 때 결정됨

-기획서의 첫인상은 단순함의 정도, 시선의 자연스러움에 따라 달라짐

 

(1) 단순하게 만들기

-하지만 메시지는 명확해야 함

-단순화 방법

나만의 색상 팔레트 만들기

   -서식복사 기능을 이용해서 색감과 질감을 일관되게 유지할 것

   -기준 도형 선택 후 Ctrl+Shift+C 동일서식 적용할 도형 선택 Ctrl+Shift+V

   -기업의 로고 색상이나 추구하는 색상을 정해야 함

   -기준 색상의 채도나 밝기를 조절하며 통일감 유지함

   -기준 색상이 없는 경우 진남 남색을 사용(아래 표 참고)

   -강조 포인트는 2가지 색상을 이용(최대 4)

여백의 미 활용하기

   -기획서 1페이지에는 너무 많은 내용 담지 말아야 함

   -발표용은 20%이상, 보고용은 10~20%정도의 여백 유지

2차원 그래프 활용하기

   -3차원 그래프를 사용하면 지저분해 보임

   -막대(가로,세로), 꺽은선그래프, 원 그래프, 방사형 그래프만 이용

   -많이 사용x. 적합한 곳에 사용할 것

애니메이션 사용하지 말 것

 

 

(2) 자연스러운 시선흐름 만들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보통 왼쪽보다 오른쪽에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고 인식

   -좌측에 원인, 과거, 과거, 문제점, 요약 등 이유를 배치하고

   -우측에 결과, 미래, 해결방안, 근거 등 결론을 배치하는 것이 독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흐르게 함

위에서 아래로

   -위보다 아래쪽에 더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고 생각

   -위쪽에 원인, 과거, 문제점, 요약 등 이유를 배치하고

   -아래쪽에 결과, 미래, 개선안, 근거 등 결론을 배치하는 것이 독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흐

중앙에서 사방으로

   -기획서 중앙에 제목을 배치하고, 사방에 세부내용 배치 시 의미가 확대되는 느낌

   -SWOT분석이라면 SWOT 분석기법 제목을 가운데 넣고 사방에 요소들을 정리

 

 

 

 

 

 

4) 기획서 읽기 쉽게 만드는 방법

-읽기 쉽기 위해선느 기획서가 익숙해야함. 편안한 것에서 익숙함을 느낌

-난해한 구조, 생소한 용어는 거부감을 일으킴

 

(1) 레이아웃 통일하기

-페이지별로 레이아웃이 다르면 일관성이 없어서 읽는 사람에게 혼동 일으킴

-기본 레이아웃을 정해놔야 독자가 어느 위치에 핵심 주장이 있고, 어디에 근거 및 배경이 있을지 인지할 수 있음

-상사아게 가장 익숙한 레이아웃은 3단 구성 레이아웃 형태임

-두괄식 형식으로 제목 헤드메세지, 메세지 설명자료 순으로 이어짐

-이는 처음 보는 페이지도 핵심 내용과 주장을 3초안에 읽을 수 있게 함

. 제목

-자세할 필요는 없지만 보자마자 의미가 전달되어야 함

-기획의 필요성, 추진체계, 추진일정 등과 같이 간단명료하고 어떤 내용인지 추측할 수 있을 정도만

 

. 헤드메시지

 ① 리딩메시지, 거버닝 메시지라고도 불림

 ② 헤드메시지는 다음과 같음’, ‘아래를 참조등의 표현을 쓰지 않음

 ③ 시사점 없는 단순요약 형태의 헤드메시지는 성의가 없어보임. 반드시 시사점을 넣

      : “그래서 어쩌라고?”, “의미가 뭐야?”, “말하고싶은게 뭔데?”라는 반응 나옴

 ④ 헤드메시지는 2~3줄 정도로 만들어야 함(너무 많은 문장 중어부언)

     e.g. ‘2020년에 문제가 많았던 OO규제가 드디어 2021년 완화되기 때문에 우리가 진입하려는 OO시장은 앞으로 급격하              게 커질것으로 생각됩니다.

 ⑤ 서술형 어미(합니다. 입니다) 보다 명사형 어미(, 임 등)로 마무리 하는 것이 좋 = 개조식

. 본문

-공들여 정리하고 분석한 재료를 담는 부분, 이를 근거로 헤드 메시지 작성

-구조화를 통해 수많은 기획재료를 얼마나 체계적으로 구성해 나타내느냐가 중요함

-익숙해야 읽기 쉽다고 하였듯, 구성방식도 익숙해야 함.

-몇가지 구성방식을 패턴화시켜 반복적으로 활용해야 함(주로 4가지)

 

 

상세 설명형

- 설계도, 조감도, 청사진 등과 같이 헤드 메시지를 본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패턴

- 본문에 담긴 콘텐츠가 헤드 메시지와 1:1 관계가 됨

- 이 경 헤드 메시지는 본문에 담긴 콘텐츠의 강점이나 차별성을 설명하는 형태가 됨

 

 ② 조합형

- 본문에 있는 콘텐츠들을 조합하여 헤드메세지를 설명하는 패턴

- 이런 경우 본문에는 2개 이상의 수직관계 콘텐츠가 담김

- 사례를 기준으로 보면, A-1에는 지역별 판매추이를’, A-2에는 연령별 판매추이를 담는 식

- 이럴 때 헤드 메시지는 A-1, A-2를 조합한 지역별 핵심 고객에 대한 국내 정책정도가 될 수 있음.

- 헤드 메시지에서 본문에 있는 2개 이상의 연관 콘텐츠를 조합해서 해석

 

 

종합형

- 본문에 있는 콘텐츠를 종합하여 헤드 메시지를 설명하는 패턴

- 이런 경우 본문에 2개 이상이 평렬 콘텐츠가 담김

- 사례로 보면 A에 해외시장규모, B에 국내시장 규모

- 이때 헤드 메시지는 AB를 종합하여 세계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흐름형

- 본문에 기업 로드맵, 추진 프로세스, 추진일정 등과 같은 흐름이나 방향을 작성하는 패턴

- 헤드 메시지는 본문에 대한 목표나 방향을 설명

- 본문이 추진 프로세스라면 헤드 메시지를 ‘OO단계를 거쳐 언제까지 OO을 완료할 계획임식으로 작성할 수 있음

 

 

 

 

 

이전글

https://cermait.tistory.co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