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기력/무기력의 원인5

[무기력증 원인] 나는 무기력에 빠지기 쉬운 성격일까?(의존적인 성격, 강박적인 성격) 서문: 무기력증에도 빠지기 쉬운 성격이 있다. 대표적으로 의존적인 성격과 강박적인 성격이다. 이 성격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독자 자신의 성격 유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1. 성격유형 1) 인격장애를 살펴야 하는 이유 성격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기존에 믿고 있었던 성격을 분류하던 많은 방법들이 사장되었다. 현재 심리학자와 심리상담사가 이용하는 성격 분류법이 있지만, 별도의 검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인격장애의 특징을 통해 우리의 성격을 추측할 수 있다. 인격장애라고 부르지만, 심리학적으로 정상과 장애는 연속선상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인격장애의 특징을 알아보며 무기력증에 빠지기 쉬운 성격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의존적인 성격이 과도화 되면 의존성 인격장애가 되는 것이기에.. 2023. 9. 14.
[무기력 원인] 무기력증은 오로지 개인의 책임인가? 사회의 책임인가?(노력에 보상을 주는 사회) 서문: 무기력증이 오로지 개인의 문제인지, 사회의 책임은 없는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여태 글을 읽어오셨다면 무기력의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쉽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반복된 실패때문이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말할 것이다. "본인이 실패한 건데, 다른 사람들 보고 어쩌라고요? 무슨 상관인데요?"라고 말이다. 그렇다면 틀린 말은 아니다. 아니 옳다. 개인의 실패는 개인의 책임이고 문제이다. 개인의 무한 책임지만 사회의 영향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무기력증에 빠지고 은둔형 외톨이가 되는 사람들에 대하여 사회는 면책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나는 사회가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기력의 원인에 관하여 지극히 주관적이고 단견이지만 논리적인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한.. 2023. 9. 4.
[무기력증 원인] 3. 통제할 수 없기에 절망하고, 절망하기에 무기력하다. 무기력증의 주요 원인은 통제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온다. 나에게 스트레스 혹은 고통을 주는 자극과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는 인식은 사람을 무기력에 빠지게 한다. 통제불가능성과 통제불가능한 것들의 예시를 살펴보겠다. 무기력을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의 첫 번째로는 통제 불가능성(Uncontrollability)[비수반성 인지(Noncontingency)]가 있고, 두 번째로는 예측불가능성(unpredictability)이 있다. 이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이기도 하다. Mason에 따르면 새로움(Novelty), 예측불가능성(unpredictability), 통제불가능성(Uncontrollability)이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라고 하였다(Mason, 1968). 오늘은 통제불가능성에 대하여 .. 2023. 8. 17.
[무기력증 원인] 2. 우리 아이(아동)에게 무기력을 만드는 부모의 양육 방법 3가지 아동에게서 무기력증을 유발하는 부모님의 양육 방법 3가지에(강압적인 부보, 완벽주의자 부모, 소외와 방치)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부모님의 양육방식은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 완벽주의, 강압, 유약, 과보호, 심기증, 징벌, 방치, 거부, 성적자극에 기인한 것들이 많다. 어린 시절에 형성된 나의 자아는 성인이 되어서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 정신신경의학회 전문의 미실다인(w. ugh missildine) 박사에 따르면 내재아(inner child of the past) 혹은 내재과거아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나 감정이 성인이 되어서 계속해서 영향을 일으킨 다고 하였다. 그러니 아동이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부모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 아이에게 무기력증이 발생하게 할 수 있.. 2023.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