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기력/무기력의 증상

[무기력증 증상] 3. 무의식적인 무기력, 성취되지 못하는 욕망과 은밀한 무기력의 예시들

by 부등깃 2023. 8. 11.

무기력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자신의 무기력을 의식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적인 무기력증의 상태에 놓여있을 수도 있다. 은밀한 무기력예시들에 대한 포스팅이다.

 

 

무기력은 무언가를 원하거나 욕망하지만 성취하거나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 원하는 것과 욕망하는 것이 있지만 아무런 노력도 못하는 사람들은 무기력증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무기력증 증상의 예시들을 통하여 본인이 무기력증을 가지고 있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무기력증의 분류는 인지과학자인 박경숙 님의 저서 '문제는 무기력이다'를 참고하였고 몇 개의 예시를 참고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1438212?cat_id=50005779&frm=PBOKPRO&query=%EB%AC%B8%EC%A0%9C%EB%8A%94+%EB%AC%B4%EA%B8%B0%EB%A0%A5%EC%9D%B4%EB%8B%A4&NaPm=ct%3Dll6ntkl4%7Cci%3Dd98655ef8fbd66dead32a9d09e4039b736b652f3%7Ctr%3Dboknx%7Csn%3D95694%7Chk%3D4c9eaf4741a4cc9a1a27f4c615470531d9dff92b

 

문제는 무기력이다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1. 의식적 무기력, 무의식적 무기력

  1) 의식적인 무기력

무기력을 경험하는 본인도 자신의 무기력증을 알고, 주변인들도 명확하게 아는 의식적인 무기력증이 있다. 

무기력이 정신질환이라고 진단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력의 원인은 심리적인 이유도 있지만,  대사질환(부신-갑상선)으로 인한 무기력을 경험할 수도 있고, 불면증과 수면부족으로 무기력을 경험할 수도 있다. 심리적으로는 우울증과 무기력은 하나의 증상이라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여하튼 무기력증을 분명히 자각하고 있다면 자신의 의식적인 무기력증의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면 될 것이다. 자신의 환경이나 계속된 실패로 인한 것이라면, 환경변화를 시도하거나 성공 경험을 쌓는 것이 좋을 것이다. 

 

  2) 무의식적 무기력

무의식적인 무기력은 말 그대로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아닌 다른 행동에 에너지를 쓰는 것도 무기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업무능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것도 무기력의 증상 중 하나이다. 원인에 대한 예시가 아닌 증상에 대하여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고자 한다.

 

예시 ①

대학교 마지막 학기를 끝낸 A학생은 취직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이를 위해 토익 점수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토익 학원에 대하여 알아보거나 공부법을 알아본다는 이유로 카페와 블로그를 매일 전전하고 있다. 그렇게 토익 공부를 실제로 하고 있지 않는 상태만 계속되고 있다. 어머니는 A학생이 열심히 토익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험을 치르거나 점수를 받아오지 않아 의아해하며 A학생에게 관련한 질문을 하였고, 그 뒤로 A 학생은 어머니를 점점 피하게 되었다.(행동 X or 다른 곳에 에너지 사용, 고립)

 

예시 ②

대학원생 B학생은 졸업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주제 선정 및 연구계획서를 수 차례 작성하고, 교수님께 보여드렸지만, 교수님께서는 적절한 주제가 아니거나 선행 논문이 너무 많으므로 졸업논문 작성을 허락해주지 않으셨다. 선행논문을 계속 찾으며 주제 선정을 위해 누구보다 노력했지만 계속되는 실패로 의욕도 없고, 내가 뭘 해도 교수님이 허락해주지 않을 것 같고, 한 것도 없는데 매일 피곤한 것 같다. 요즘은 침대 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하루종일 유튜브만 보고 있다.(행동 x, 피로, 의욕상실, 나는 뭘 해도 안될 것 같음)

 

예시 ③

뛰어난 실력으로 유명한 축구선수 C군은  찾은 부상을 경험하였다. 최근 부상을 입었고 부상이 회복되었고, 출전을 위해 컨디션을 향상해야 하는 상황이다. 감독은 현재 훈련 참여를 격려하며, 출전을 위한 컨디션을 맞추도록 지시하였지만, 왠지 훈련장에만 가면 부상부위가 시큰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친구들과 풋살장에서 풋살 매일 하며 이것도 훈련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다음 훈련 일정에는 반드시 참여할 것이고, 실력이 뛰어난 만큼 금방 좋은 성적을 갖게 될 것이란 생각을 매번 반복하고 있다.(다른 곳에 에너지 사용)

 

예시 ④

해외 파견직인 D군은 한 명의 상사가 있는 곳으로 파견근무를 갔다. 파견직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기획, 진행, 평가 보고서를 작성해야 했다. 내막을 알고 보니, 상사의 업무처리능력이 부적절하여 선정되어 파견되었고, 이에 관하여 잘 보좌하라는 이야기를 본사에서 듣고 파견되었다. 본사의 양식에 맞춘 결재서류를 상사에게 결재받고 본사에 보고해야 하여 결재를 올리면, 상사는 10페이지짜리, 1시간이면 작성하는 결재서류를  양 옆에 나란히 앉아서 4시간 동안 매우 느리게 첨삭을 하였고, 이는 회사의 양식이 아닌 자신만의 양식과 공적이지 못한 항목들이 마구 추가되었다. 그 후 본사는 모든 결재서류에 매번 항의하였고 서류는 반려되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매일같이 지속하게 되었고, 서류를 작성하는 일이 고통이 되었으며 집중력이 떨어져 1시간이면 작성하던 서류를 5시간이 넘게 걸렸다. 업무시간이 점점 길어져 하루종일 일하게 되는 것은 덤이었다. 매일 피곤하고, 무기력하게 소파에 널브러져 있게 되었고, 업무 상 있었던 것들을 잘 까먹었다. 업무에서 있었던 작은 일 하나마저도 크게 분노하며 친구에게 전화해 몇 시간 동안 이에 대하여 화를 내기도 하였으며, 나중에는 본사의 컴플레인과 상사의 컴플레인을 들어도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았고, 업무를 자포자기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본인이 업무 및 회사생활을 잘 못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해결할 방법도 없는 것 같기도 하니 업무에 대한 적극성 마저 줄어들었다. 해외사정의 변동으로 귀국하였고, 재 파견요청을 받았으나 회사를 퇴직하였다.( 업무능력 및 집중력 저하, 피곤, 무기력, 지남력 저하, 수동성, 분노와 과민증, 본인에게 책임 전가)

 

예시 ⑤

기획팀에 근무 중인 E군의 팀은 계속되는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외국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고, 이전의 회사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인정받아 팀장으로 이직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실패할수록 본인이 팀의 모든 업무를 직접 관여하려고 하며 의욕을 더 높였다. 하지만 점점 근무시간에 업무 외의 일을 하거나, 프로젝트 기한을 넘기고, 남의 도움을 통해 겨우 업무를 끝내는 상황에 일어났다. 심지어 상업 기획에서 심각한 실수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그는 적성이 맞지 않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고, 회사에서 자신을 해고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하지만 이직을 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결국 그는 회사에서 해고되었다.(모든 일을 내가 하려는 것, 업무능력 저하, 집중력 저하, 무기력)

 

정리하자면 공통적으로 욕망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좌절하며, 욕망하는 것을 위한 노력을 안 하거나 다른 행동노력을 하거나,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출 시도노력을 안 한다. 예시 4와 5처럼 지식을 이용해서 새로운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만드는 일을 해야 하는 사무직, 전문직 근로자는 무기력을 경험할 때 다른 직종보다 심각한 사태가 빚어진다. 자신의 뇌를 이용해서 업무를 해야 하는데 업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육체노동은 습관화된 동작과 숙련된 몸으로 인해 업무가 진행될 수도 있는 것과 다른 부분이다. 무기력을 경험하면 5번의 예시처럼 환경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조차 하지 못한다

 

사실 4의 예시는 본인의 이야기다. 마지막에 업무를 자포자기 한 시점엔 파견국의 상황이 변하여 업무량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다행피 자포자기하여도 티가 안나는 좋은 상황(?)에 놓여있었다.  그곳에서 사귄 친구들(가난한 나라의 청년백수들, 일하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다.)과 그늘아래에서 하루종일 누워있는 생활을 2주간 하였다. 많은 내용을 서술하기엔 글이 길어질 것 같아 줄였다.

아직 다 회복된 것인지는 명확하진 않다. 운동 강도를 점점 높여가고 있다. 산책->러닝-> 헬스-> 헬스+수영 순으로 강도를 높여 운동하며 신체도 되돌리고 성취감을 높이려 하고 있다. 더하여 프로젝트(아직 불명확한 도전이다)도 약간 진행하였고, 블로그를 현재 하고 있으며, 영어점수도 만들려고 한다.

이것저것 다 하지만 성과가 없는 것도 실은 무기력의 증상인지라 완전히 회복한 것은 모르겠다. 다만 운동을 통해 많은 부분이 회복된 것 같다. 당시에는 무기력이라는 생각을 하지는 못하였나..? 정신과에서 수련 중인 친구가 생각해 보니 무기력증 같다고 이야기해 줬었는데, 통화할 때 분노가 가득해서 까먹었었고, 무기력에 대한 자각이 적었던 것 같다. 그저 과민하고 매일 피곤하고 의욕도 없고 업무능력과 집중력은 떨어지는데, 해결 방법을 못 찾고(해외에서 해결법을 찾기 어려웠고, 다른 증상인 고립이 내가 원하지 않아도 만들어졌다. 한국인이 거의 없는 곳이라) 셀리그만의 개처럼 전기자극이 와도 '그냥 그런가 보다'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런 게 무서운 은밀한 무기력의 모습이다. 당시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고 그런 힘도 없었다.

다만 한국에 와서 나를 둘러싼 환경이 바뀌었다. 나를 무기력하게 하는 환경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이렇게 살다 죽을 수는 없다는 마음으로 산책부터 시작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극복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하고자 한다. 본인의 이야기라 욕심이 들어서 주제 범위를 넘어가는 내용을 쓰게 되었다.

 

위의 예시들을 통하여 무기력증이 나타나는 모습을 더 잘 이해하고, 본인이 무기력증인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글이 길어져서 급성과 만성 무기력도 있으나 기회가 되면 소개를 하겠다. 

 

 

위로와 힘이 되길

 

 

이전글

[무기력증 증상] 2. 자세하고 알기 쉬운 무기력의 증상 7가지(허버트 프로이덴베르거)

 

[무기력증 증상] 2. 자세하고 알기 쉬운 무기력의 증상 7가지(허버트 프로이덴베르거)

무기력증의 증상을 자세하고 쉽게 나눈 심리학자 허버트 프로이덴베르거의 무기력증의 증상 7가지(탈진, 고립감, 조급증과 과민증, 무리수, 망상, 지남력장애, 통증 등)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cermait.tistory.com

 

 

다음글

[무기력증 증상] 4. 무기력에 대한 잘못된 예시(상식) 2가지

 

[무기력증 증상] 4. 무기력에 대한 잘못된 예시(상식) 2가지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대표적인 예시로 유명한 서커스단 코끼리와 병 안의 벼룩 예시의 잘못된 점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학습된 무기력의 예시로 잘 알려진 코끼리와 병 안의 벼룩 예시가 있습

cermait.tistory.com

 

 

무기력증 극복을 위한 글

[무기력증 극복] 1. 무기력 극복의 시작. 가장 작고 쉬운 효과적인 3가지 방법

 

[무기력증 극복] 1. 무기력 극복의 시작. 가장 작고 쉬운 효과적인 3가지 방법

실제 무기력증과 우을증에 시달리는 사람은 내적인 에너지가 없어 무기력증을 극복하는 것은 어림도 없고, 극복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극복을 위한 가장 작고 쉬운, 효과적인 방

cermait.tistory.com